본문 바로가기
경제

2024년 9월 fomc 회의 발표에 따른 투자 전략

by #@※★ㅦ⅓3Ζ¼ⓓ 2024. 9. 20.

드디어 물가를 잡기 위해 올렸던 금리가 어제 fomc회의에서 인하하는 것이 발표되었다. 내년 말이 되면 3.5p정도가 된다고 한다. 금리 상승기에는 주식시장이 약화되었었다. 그 이유는 금리가 높으면 은행에 맡겨만 두어도 이자가 높으니 굳이 위험성이 있는 주식에 돈을 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돈을 실물 자산, 부동산, 주식, 채권, 코인 등 여러 형태로 소유할 수 있는데 돈이 몰리는 곳에서 서있기만 해도 돈을 벌 수 있다. 금리 인하기에는 어떤 형태의 자산이 유망한 지 그리고 그에 따른 투자전략을 알아보자


1. 부동산
금리 인상으로 직격탄을 맞은 곳이 부동산 투자라고 해도 무방하다. 하지만 미국 기준금리 인하가 시작되었기 때문에 한국도 따라 내릴 것이고 이는 부동산 하락시장의 끝이라고 할 수 있다. 아파트를 현금 주고 사는 사람은 거의 없고 대출을 끼고 구매를 한다. 금리가 낮으면 당연히 부담이 줄어서 구매하기 쉽다. 항상 선반영이 일어나기 때문에 지금 부동산 공부하여 1년 뒤에 투자하면 금리 인하기간에 좋은 매물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2. 채권
보통 미국채를 안전자산으로 많이 사는데 은행이자가 3프로 이하가 되면 현재 미국채가 3프로가 넘기 때문에 충분히 매력적인 투자처라고 할 수 있다. 원금도 높아질 수 있으니 바로 지금이 투자 적기라고 생각한다. 미국채를 추종하는데 3배 레버리지인 tmf에 투자하고 있다.

3. 주식
현재 미국과 중국이 차세대 먹거리인 ai의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보이지 않는 전쟁을 하고 있다. 세계 주식시장에서 엔비디아 회장의 발언이 파월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상황이다. 만약 이러한 상황이 아닌 일반적인 상황이었다면 금리 인상기에 주식시장은 좀 더 힘들었을 것이다. ai가 허상이 아닌 실제 수익을 창출한다는 사실이 드러나며 좀 더 힘이 실리고 있는데 ai가 더 잘 버틴다면 나스닥은 문제없을 것이다. ai가 못 버틴다면 1년은 넘게 주식시장은 하락할 것이다. 최근 많은 사람들이 배당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 지금은 이미 주가가 올라서 아쉽지만 여전히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



댓글